‘숨은 현대병’…급성충수염(맹장염)과 혼동하기 쉬워

‘대장게실염’은 현대인이 유념해야 할 소화기질환 가운데 하나다. 그래서 ‘숨은 현대병’으로 불린다. 현대인이 즐기는 육류 위주의 고단백‧고지방 식단이 대장게실염의 원인으로 손꼽히기 때문이다.

게실은 대장 벽의 일부가 약해져 바깥쪽으로 주머니처럼 튀어나온 공간이다. 게실은 장 바깥쪽에 볼록한 겉주머니처럼 생겼다. 태어나면서 달고 있기도 하고, 퇴행성 변화나 식생활 습관 등으로 살면서 생기기도 한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게실염 환자는 2010년 3만2,317명에서 2019년에는 5만9,457명으로 지난 10년 동안 무려 84%가 늘었다.

대장 게실은 육류 위주의 저섬유질 식이를 주로 하면 대변의 양이 적고 응집돼 대장이 과도한 분절운동을 하면서 내압이 증가한다. 내압이 증가하면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게실을 만든다.

게실은 그 자체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게실 공간에 대변 등의 오염물질이 축적되다가 감염이 생기면 대장게실염으로 진행한다. 게실염이 심해지면 게실이 천공되거나 주변부에 농양을 형성해 복막염으로 악화된다.

대장게실염의 초기증상은 복통과 미열이다. 대장의 맹장 부위에 생긴 게실염이라면 급성충수염(맹장염)과 혼동되기 쉽다. 게실염은 급성충수염에 비해 증상 발현시기가 조금 불분명하고 과거에도 유사한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많다. 또 통증 부위가 우하복부보다는 좀 더 상부나 측면으로 치우치기도 한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CT 검사가 필요하다.

발열이나 구토, 심한 복통과 같은 복막염 증상이 없는 초기 단계에서는 보존적 치료로 경구용 항생제를 투여하며 통원하면서 치료할 수 있다. 통원 치료로 호전되지 않으면 입원한다.

건국대학교병원 외과 성무경 교수는 “입원해도 복막염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경피적 배액술이나 수술과 같은 추가적인 치료를 고려한다”며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되도 추후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암이나 염증성 장 질환 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